경산시 문화유적 분포지도 제작 문화재 지표조사
글유형 | 지표조사 | 조사기간 | 2004.12.15. ~ 2005.12.14. |
조사자 |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| 보고서 유무 | O |
보고서 제목 | 문화유적분포지도(경산시) | 발행년도 | 2006.06.01. |
종류 | 보고서 | 쪽수 | 333 |
문화재청에서는 전국의 모든 시 군에 산재하고 있는 문화유적을 종합적이고 일목요연하게 정리 관리하고자 '문화유적분포지도' 제작 작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
이러한 일환에서 경산시에서도 재원을 확보하여 경산시 전역에 걸친 문화유적 분포지도 제작 사업을 실시하고자 본 대학교 박물관에 조사를 의뢰해 옴으로서 2004년 12월 19일 계약하게 되었습니다. 금번에 실시된 경산시 문화유적 분포지도 제작에 따른 학술조사는 기 조사된 문헌자료의 수합 및 현장 지표조사를 통하여 기존에 알려진 유적의 현 상태를 파악함은 물론, 새로운 유적을 찾아내는 등, 경산 관내 문화유적을 총 망라하여 조사함으로서 그동안 부분적, 산발적으로 이루어졌던 경산시의 문화유적을 종합 정리하느 계기가 되었습니다.
그리고, 이러한 작업을 통해 제작된 『문화유적분포지도-경산시』은 국토개발, 도시계획 수립, 각종 공단개발 및 택지개발 등의 개발 사업에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이후 문화유적의 파괴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개발사업을 효율적으로 진행 할 수 있게 되었다 하겠습니다.
나아가 『문화유적분포지도-경산시』은 경산시 내에 산재하고 있는 각종 문화유적의 현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화 사업의 기초자료로서 학술, 문화사업의 재원으로써 이용될 수 있으며, 아울러 문화유산에 대한 정확한 자료 확보를 통해 지역 주민에게는 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한 정확한 인지를 통한 문화의식 고취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되며, 관련 학계 및 연구자에게는 기초 학술자료로서는 나침반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.
문화유적 분포지도는 관내에 분포한 모든 유적ㆍ유물이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사되어야 하는 바, 본 박물관은 고고, 역사, 불교, 민속, 고건조물, 산성, 노거수 및 공룡화석(선사)를 포괄적이면서도 면밀하게 조사하기 위해 해당 전공 전문가를 조사 책임자로 하는 8팀의 조사단을 구성하여, 지표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
이 후 현장조사는 각 팀별로 세부일정을 계획하여 실시되었는데, 유적의 소재지 파악 및 유적 찾기는 1:25,000 및 1:5,000지형도를 들고 다니면서 유적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취하였습니다. 특히, 새롭게 발견되거나 조사된 유적은 1:25,000 지도에 표기 후 다시 1:5,000 지도에 정확한 표기를 위해 확인 작업을 병행하였습니다.
이렇게 각 팀별로 현장조사를 마치면, 유적명, 소재지, 시대, 관리자, 조사개요, 사진, 디지털 자료, 1:25,000지도와 1:5,000지도의 유적표기가 완료된 조사카드를 박물관에서 수합하여, 조사내용을 정리하는 한편 소재지를 확인하면서 행정구역상의 명칭을 통일하고, 행정구역별, 시대별, 종류별로 분류 목록화하는 작업을 병행하였습니다,